부산시 다자녀 교육지원 사업 아시나요?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광역 지자체 최초로 부산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과 다자녀 가정의 교육비 부담 완화를 위해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부산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해(2024년)부터 사업을 추진 중이며, 시와 시교육청이 7대 3의 재원 분담을 통해 운영한다. 지난해에는 부산시 다자녀 가정 12만 2천여 세대가 총 412억 원을 지원받았다.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는 소득·재산 기준에 상관없이 자녀 1명 이상이 […]

내용보기☞

배움의 기회를 놓친 성인들을 위해 ‘2025년 성인문해교육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수준을 넘어,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실용문해까지 포함하며, 고령화 사회에서 시민들의 자립적 삶을 지원하는 포괄적 교육복지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부산시는 기초 문해교육 61개소, 디지털 문해교육 17개소, 생활문해교육 3개소 등 총 81개 교육기관을 선정했으며, 총 5억 3천 3백만 […]

내용보기☞

부산 사하구 지역문화축제

부산 사하구 괴정동 회화나무 샘터공원에서 지난 15일 ‘하나우리 지역문화 소소한 축제- 슬렁슬렁 정오의 산책’이 성황리에 열렸다.  하나우리는 부산시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로 사하구에서 지역문화활성화 및 지역공동체를 위한 나눔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축제도 작년에 이어 올해 2회째 개최한 행사로 사하주민을 대상으로한 전시와 공연 등 사하주민들의 작품과 재능나눔, 후원으로만 치뤄진 행사였다. 이날 축제는 정오의 갤러리, 15분음악회, 빨래터 시화전, 꿈꾸는 우리마을꾸미기 […]

내용보기☞

부산, 어디까지 알고 있니?(3)

사십계단 층층대에 앉아 우는 나그네울지 말고 속 시원히 말 좀 하세요피난살이 처량스레 동정하는 판자집에경상도 아가씨가 애처러워 묻는구나그래도 대답없이 슬피 우는이북 고향 언제 가려나(경상도아가씨 1절, 가수 박재홍,1953) 1950년대에 히트했던 <경상도아가씨>에 한국전쟁때문에 부산으로 피난 온 사람들의 고달픈 삶과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하는 실향민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이 노래에 등장하는 사십계단이 부산 중구에 있는 관광지 40계단이다. 외국인 관광객까지도 […]

내용보기☞

부산, 어디까지 알고 있니?(2)

용두산 공원은 한때 부산의 상징이었던 곳이다. 용두산 공원은 일제강점기에 조성되었지만 용두산 공원의 부산타워, 이순신장군 동상, 꽃시계는 광복 이후 설치되어 이들과 함께 도시 부산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이순신장군 동상은 1956년 3월에 용두산공원에 세워졌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많이 거주했던 곳에 광복을 기념하여 붙여진 지명이 광복동이다. 이 광복동의 한복판인 용두산에서 부산항을 바라보며 높이 12M의 이순신장군이 지키고 있는 모습이다. 부산타워는 1973년, […]

내용보기☞